빼앗겨 버린
백두대간의 봄

꽃이 피는 봄이 다가왔습니다. 

매서운 추위를 이겨낸 

나무들에 푸르른 새 잎이

돋을 시기지만, 


산불로 인해

백두대산의 산들에는 

까맣게 타버린 아픔의

흔적만이 남아있습니다.

이번 산불로 
서울 면적의 
30% 소실

이번 산불로 인해 소실된 산림,

자그마치 2만 523.25ha. 


이는 전체 산림의 20%나 되며, 

서울 면적의 30%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수치입니다.


게다가 피해 산림 중 약 78%는 

1등급의 환경보전 가치를 가진 

지역입니다.

빼앗겨버린 백두대간의 봄

꽃이 피는 봄이 다가왔습니다. 

매서운 겨울의 추위를 이겨낸 나무들에 푸르른 새 잎이 돋을 시기이지만, 

산불로 인해 피해 입은 백두대산의 산들에는 

까맣게 타버린 아픔의 흔적만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

이번 산불로 서울 면적의 30% 소실

이번 산불로 인해 소실된 산림은 

자그마치 2만 523.25ha. 


이는 전체 산림의 20%나 되며, 

서울 면적의 30%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수치입니다.


게다가 피해 산림 중 약 78%는 

1등급의 환경보전 가치를 가진 지역으로, 

산림 복원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산림 복원이 필요합니다.

산불이 발생하는 해 장마철에는 

민가나 농경지, 보호시설 등이 

홍수 피해와 같은 2차 피해를 입을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송이 주산지인 동해안 지역의 경우 

주민 소득원 유지를 위해서라도 

일정 규모의 소나무 숲 복원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굿피플은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산림 회복을 진행합니다

2019년 산불 피해 후 이번 산불로 2차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산림을 회복하기 위해

 강릉시청과 산불 예방을 위한 기후 변화 대응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지속적으로 산림이 회복될 수 있도록, 캠페인에 동참해 주세요.

지속적인

산불 피해 지역 모니터링

산림 회복을 위한

산불 피해 지역에 산림 조성

안정적인 산림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

2차 피해를 막기 위한산림 복원의 필요

산불이 발생하는 해 여름에는 

민가나 농경지 등이 

홍수와 같은 2차 피해를 

입을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송이 주산지인 

동해안 지역의 경우 

주민 소득원 유지를 위해

일정 규모의 소나무 숲 복원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굿피플은 지속적으로
산림 회복
힘쓰고 있습니다

이번 산불로 2차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산림을 회복하기 위해

강릉시청과 연계하여 

나무 심기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지속적으로 산림이 회복되도록

캠페인에 동참해 주세요.

지속적인

산불 피해 지역 모니터링

산림 회복을 위한

피해 지역 산림 조성

안정적인 산림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